미끄럼틀서 떨어진 6살 아이, 뇌출혈로 의식불명 / SBS 뉴스 제공, 사진
SBS '8시 뉴스'에 따르면 서울의 한 어린이 공원에서 6살 아이가 미끄럼틀에서 떨어져 머리를 다쳐 뇌출혈로 의식을 잃었다는 소식이 있습니다. 아이는 안타깝게 일주일 넘도록 깨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기자>
한 아이가 미끄럼틀을 거꾸로 오르더니 잠시 뒤 바닥으로 떨어집니다. 아이는 잠깐 걷다가 주저앉더니 결국 드러눕습니다. 사람들이 모여들고 아이는 들것에 실려갑니다.
지난 4일 서초구의 한 어린이공원에서 6살 손 모 군이 미끄럼틀에서 떨어져 머리를 다쳤습니다. 골절이나 겉으로 드러나는 외상은 없었지만 심한 뇌출혈로 의식을 잃어 위독한 상태입니다.
미끄럼틀서 떨어진 6살 아이, 뇌출혈로 의식불명 / SBS 뉴스 제공, 사진
사고 현장입니다. 이 미끄럼틀에서 아이가 추락해 머리를 크게 다쳤는데 높이를 재보니 보시는 것처럼 110cm밖에 되지 않습니다.
담당 구청은 지난 9월 말 어린이공원의 바닥포장을 새로 했는데 바닥 탄성 검사 전에 공원을 개방했습니다.
[구청 관계자 : 그분들(검사업체)도 일정이 있기 때문에 바로 나온 건 아니고. 실제적으로 나온 것은 사고 난 이후로 왔어요. (검사 전에) 계속 개방 못 하면 주민들이 주변에 이용할 공원도 없는데.]
미끄럼틀서 떨어진 6살 아이, 뇌출혈로 의식불명 / SBS 뉴스 제공, 사진
SBS가 검사기관에 의뢰해 탄성 검사를 해봤습니다.
놀이기구에서 떨어졌을 때 머리를 다치는 정도를 나타내는 '두부 상해 기준값'은 1000 이하가 기준인데 검사 결과 500 정도로 나왔습니다.
[배송수/안전모니터봉사단중앙회 : 시설 검사에서 합격했다 그래서 마음을 놓아서는 안 된다는 사실이에요.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 기준 자체는 기술적 측면의 최소한의 안전성만을 확보하는 최저기준일 뿐이고.]
놀이터 사고 중 63%가 추락으로 일어납니다.
또 조합 놀이대와 미끄럼틀에서 나는 사고가 43%에 달하는 만큼 사고 빈도가 높은 놀이 시설 주변 포장재는 안전 기준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미끄럼틀서 떨어진 6살 아이, 뇌출혈로 의식불명 / SBS 뉴스 제공, 동영상
원본 링크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Id=N1004480726&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