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쓸데 있는 '자동차 잡학지식'

1 트렁크 용량은 어떻게 잴까?
트렁크 용량은 부피로 표시한다. 트렁크 안쪽의 너비와 높이, 깊이를 측정해 곱한 수치를 따진다. 문제는 실제 트렁크가 정확한 박스 형태가 아니라는 거다. 튀어나온 부분이 있기도 하고, 해치백의 경우 트렁크 커버 위쪽으로 천장까지 거리를 트렁크로 볼 것이냐의 문제도 있어 정확히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미국의 GM 같은 경우는 해치백이나 SUV의 트렁크를 2열 시트 등받이까지만 따져 홈페이지에 적고 있다. 그래서 미국 정부의 발표 수치보다 더 적게 표시되기도 한다. 트렁크를 재는 방식이 국가마다 다르기도 하다. 독일의 VDA 방식은 200×50×100밀리미터 크기의 나무 블록을 넣어 실제로 몇 개가 들어가는지를 확인해 용량을 계산한다. 하지만 요즘 브랜드에서 발표하는 수치는 대체로 CAD 디자인에서 확인한 수치일 가능성이 높다. 

2 혼다 시빅은 왜 ‘시민’이란 이름이 붙었을까?
혼다자동차 일본 홈페이지에 누가 같은 질문을 올렸다. 이에 대한 답은 이렇다. ‘혼다 시빅은 1972년 당시 아무도 만들어내지 못했던 신선한 구조의 자동차였습니다. 콤팩트한 크기와 여유로운 실내공간에 사람들이 큰 관심을 보였죠. 혼다는 시빅이 시민을 위한 차가 되기를 바랐습니다. 쉽고 편하게 탈 수 있는, 그래서 많은 시민의 발이 돼줄 자동차 말이죠. 그래서 이름을 시민이라고 붙인 겁니다.’ 그러고 보니 폭스바겐도 국민차라는 이름이다.

3 전기차는 왜 브랜드가 발표하는 주행가능거리와 실제 주행가능거리의 차이가 클까?
국내 전기차 주행가능거리는 정부의 공인인증을 받아야 하는데 지난해 11월 발표한 기준에 따른다. 이전까지는 한 번 충전한 다음 도심주행과 고속주행을 반복해 차가 완전히 멈출 때까지의 달린 거리를 재는 SCT(Single Cycle Test) 방식으로 측정했다. 하지만 요즘 300킬로미터 이상을 달릴 수 있는 전기차가 늘어나면서 이 테스트를 하기엔 시간과 돈이 많이 들게 됐다. 그래서 미국에서 시행 중인 MCT(Multi Cycle Test)를 적용해 평가하고 있다. 

정해진 구간에서 도심주행과 고속주행을 반복한 다음 그때의 주행거리를 배터리 용량에 대입해 주행가능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왜 전기차가 유독 실제 주행가능거리의 차이가 크냐고? 전기차는 출발할 때부터 최대 토크가 나오기 때문에 급가속을 하는 경우가 많다. 당연히 배터리가 천천히 가속하는 것보다 빨리 닳는다. 전기차는 엔진을 식히는 냉각수가 없기 때문에 실내를 데우는 히터도 전기에너지를 사용한다. 따라서 히터나 열선시트 등 전기를 많이 사용할수록 주행가능거리가 줄 수밖에 없다.

4 랜드로버 디스커버리는 어떻게  깊은 강을 건널 수 있을까?
신형 디스커버리는 강을 건널 수 있는 깊이가 900밀리미터로 양산차 가운데 가장 깊다. 자동차가 물속에 들어가는 건 가능한 한 피해야 할 일이지만 디스커버리라면 일단 900밀리미터까진 안심해도 된다. 그런데 물속이 얼마나 깊은지 디스커버리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센서가 수면에서 지붕까지의 높이를 계산한 다음 차의 높이에서 이 값을 빼면 물의 깊이가 나온다. 똑똑한 디스커버리다. 디스커버리가 900밀리미터 물속을 안전하게 달릴 수 있는 건 우선 공기흡입구를 높게 달았기 때문이다. 공기흡입구로 물이 들어가면 엔진까지 물이 들어차 시동이 꺼진다. 흡기 라인을 따라 실린더 안에 물이 들어간 상태에서 피스톤이 위아래로 움직이면 피스톤과 크랭크샤프트를 잇는 커넥팅 로드가 부러지기 때문이다. 디스커버리의 공기흡입구는 앞바퀴 위쪽의 앞 펜더 안쪽에 있다..

대부분의 자동차가 프런트 그릴 부근에 있는 것과 비교하면 물을 헤치고 앞으로 움직여도 물이 들어올 가능성이 매우 낮다. 뿐만 아니라 디스커버리는 ECU 같은 전기장치들을 밀봉하거나 실리콘으로 감싸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했다. 엔진 헤드와 블록 혹은 블록과 오일팬 사이에 들어가는 개스킷도 모두 방수 처리를 했다. 사실 이 부분에서 디스커버리는 일반적인 자동차와 가장 큰 차이가 난다. 벨트를 잡아주는 베어링과 여기에 쓰이는 윤활제는 물론 실링 등으로 철저히 방수 처리를 했기 때문이다. 일반 엔진이 빗물 정도를 튕겨내는 생활 방수용 시계라면 디스커버리의 엔진은 200미터 방수 기능을 갖춘 전문 다이버용 시계나 다름없다.

5 우리나라 운전면허증에 유효기간이 있을까?
물론이다. 운전면허증 아래에 보면 적성검사 기간이 나와 있을 거다. 적성검사 기간의 만료일이 바로 운전면허가 유효한 기간이다. 만약 이 기간을 넘긴 줄 모르고 운전하다 적발되면 무면허 운전으로 처벌을 받는다. 유효기간이 하루만 지났어도 지난 건 지난 거다. 실제로 유효기간이 일주일 지난 면허증을 지니고 택시를 몰던 택시 기사가 면허증을 지니지 않고 운전했다며 도로교통법 위반죄로 기소당하기도 했다. 그러니 적성검사는 꼭 제 날짜에 받으시길. 

6 고스트(Ghost), 레이스(Wraith), 팬텀(Phantom), 던(Dawn). 롤스로이스 모델의 이름이다. 던만 빼면 모두 유령이라는 뜻을 지닌다. 롤스로이스는 왜 유령을 차 이름에 붙였을까? 던은 왜 유령이라는 이름을 받지 못했을까? 더 이상 쓸 만한 유령 이름이 없어서?
롤스로이스는 소음을 철저히 단속한다. 각종 흡음재와 방음재를 넉넉히 두르는 것도 모자라 소음이 안팎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엔진 룸을 꼼꼼하게 밀봉한다. 소음이 들이치지 않도록 틈새를 막는 건 물론이다. 그래서 차 안에 타고 있을 때뿐 아니라 밖에서도 유령이 ‘스르륵’ 지나가는 것처럼 움직인다. 롤스로이스가 의도한 것도 바로 이거다. 유령처럼 움직이는 차. 그래서 세 모델에 유령이란 이름을 붙였다. 하지만 던은 밝은 햇살과 바람을 맞으며 즐겁게 달리는 컨버터블이다. 유령이라는 이름은 어울리지 않는다. 참고로 롤스로이스는 앞으로도 유령 이름에 얽매이지 않고 차의 특성에 맞게 이름을 짓겠다고 밝혔다. 유령을 뜻하는 그럴듯한 이름을 더 이상 못 찾은 듯하다. 그렇다고 롤스로이스에 캐스퍼란 이름을 붙일 순 없으니까.  

7 아우디는 고성능 모델에 RS를 붙인다. RS가 대체 무슨 뜻이기에?
RS는 독일어 ‘RennSport’의 줄임말이다. 영어로 풀면 ‘레이싱 스포츠’가 된다. 그러니까 RS는 레이싱을 위해 태어난 스포츠 모델이란 뜻이다. 아우디뿐 아니라 RS를 붙이는 모델이 꽤 있다. 포르쉐는 지난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911 가운데 가장 화끈한 성능을 뽐내는 911 GT2 RS 모델을 공개했다.

8 애스턴마틴 DB 시리즈의 DB는 무슨 뜻일까?
애스턴마틴은 리오넬 마틴이 세운 회사다. 아마추어 사이클 챔피언이었던 그는 1913년 자동차 경주 선수로 전향했는데 자신이 뛰어난 성적을 냈던 ‘애스턴 클린턴 힐클라임’ 경주와 자신의 이름을 조합해 애스턴마틴이란 이름의 튜닝숍을 차렸다. 이후 직접 차를 만들어 팔기로 결심하고 애스턴마틴 로고를 단 차를 제작했다. 하지만 판매는 신통치 않았고 1947년 당시 유럽 최대의 변속기 업체를 소유하고 있던 데이비드 브라운(David Brown)에 회사가 팔리게 됐다. DB는 바로 데이비드 브라운의 이니셜이다. 그는 애스턴마틴을 인수한 후 투자를 아끼지 않았고 DB라는 이름의 고성능 차를 계속 개발했다. DB 시리즈는 현재 DB11 모델까지 나왔다.

9 방향지시등은 왜 스티어링휠을 풀면 꺼질까?
방향지시등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하는 기능은 사실 귀찮음에 대한 해답을 찾으면서 만들어진 거다. 자동차 역사 초기에는 다른 운전자에게 방향을 바꿀 것이라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B 필러에 달린 막대를 올려야 할 때도 있었다. 전기식 방향지시등이 처음 만들어진 건 1900년대 초반이다. 지금의 깜빡이는 방향지시등은 1930년대에 일반화됐고 자동으로 꺼지는 기능은 1960년대에야 실용화됐다. 방향지시등이 뒤차 운전자에게 어디로 가는지를 알려줘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었지만 다시 스위치를 되돌려 방향지시등을 끄지 않는 사람들 때문에 또 혼란이 생겼기 때문이다. 스티어링휠 안에는 와이퍼나 헤드램프, 유리창 모터 등을 작동시키는 콤비네이션 스위치가 달려 있다. 방향지시등을 켜면 이 스위치가 켜지는데 오른쪽 방향지시등을 켜고 스티어링휠을 오른쪽으로 돌리면 스위치가 켜진 채로 있다가 왼쪽으로 스티어링휠을 돌리면 스위치가 꺼진다. 그래서 방향지시등도 꺼지게 된다. 하지만 스티어링휠을 충분히 돌리지 않으면 스위치가 꺼지지 않아 방향지시등도 계속 켜 있는다.

10 신호등은 누가 처음 만들었나?
1868년 12월 10일 영국 런던에 세계 최초로 신호등이 설치됐다. 자동차를 위한 신호등은 아니었다. 기차가 멈출 수 있도록 세운 신호등이었다. 하지만 지금처럼 자동으로 켜지진 않았다. 둥근 판에 구멍을 뚫은 다음 빨간색과 녹색 유리를 끼우고 뒤쪽에 가스등을 달아 경찰관이 손으로 가스등을 켜고 끄면서 신호를 바꿨다. 하지만 가스등이 폭발하면서 경찰관이 다치는 일이 잦아지자 촛불이나 석유등을 사용했다. 전기식 신호등은 1912년 레스터 와이어가 개발했다. 미국 유타주의 경찰관이던 그는 빨간색과 초록색 등을 사용해 신호등을 만들었다. 하지만 이건 자동으로 켜지는 신호등이 아니었다. 스위치를 눌러 끄거나 켜야 했다. 신호등과 관련해 처음으로 특허를 등록한 사람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개릿 모건이다. 그는 마차와 자동차의 끔찍한 추돌사고를 목격한 후 신호등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정지와 출발 신호가 있는 T자 모양 신호등을 1923년 특허로 등록했는데 이 권리를 4만 달러에 GE에 팔았다. 

11 포르쉐 911은 후진으로 달릴 때도 똑바로 달릴 때만큼 빠를까?
당연한 이야기지만 자동차는 앞으로 달리는 것을 기준으로 모든 장치가 만들어져 있다. 주행 방향의 앞쪽에 있는 바퀴가 방향을 바꾸고, 한쪽 방향으로 달리는 것을 기준으로 서스펜션이 달렸다. 그러니까 후진으로 달리는 건 ‘편리를 위한 보조 기능’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후진으로 달릴 때도 빠르냐는 질문에는 답이 두 가지다. 911은 차체 구조상 뒤 엔진, 뒷바퀴굴림 RR(Rear Engine Rear Wheel Drive)이다. 이 차가 거꾸로 달리면 앞 엔진, 앞바퀴굴림 FF(Front Engine Front Wheel Drive)가 되는데 이 차는 느리겠다는 결론이다. 엔진이 서스펜션 마운트보다 차체 바깥쪽에 있어 무게 배분에도 매우 불리하다. 그나마 수평대향 6기통 엔진의 무게중심이 낮은 게 도움을 줄진 몰라도 결국 FF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할 것 같다. 


하지만 결론은 포르쉐니까 당연히 후진도 빠르겠다는 생각이다. 그동안 911이나 박스터, 카이엔 같은 스포츠카는 물론이고 파나메라 같은 GT와 카이엔 같은 SUV까지 가장 빠르게 만들어온 회사가 포르쉐 아니던가! 

12 무슨 숫자예요?
911, 964, 993, 996, 997, 991. 무슨 암호냐고? 암호가 아니라 포르쉐 911을 부르는 숫자다. 911은 지금까지 6세대 모델로 진화했다. 그런데 포르쉐를 좋아하는 많은 사람들은 911 말고 다른 숫자로 부른다. 바로 포르쉐의 세대를 나타내는 숫자다. 911이 1세대 모델이고 마지막 991이 6세대 모델이다. 참고로 이 숫자는 모두 후속 모델을 개발할 때 포르쉐 엔지니어들이 붙인 코드네임이다. 그러니 포르쉐 좀 아는 사람으로 보이고 싶다면 5세대 911 대신 997이라고 얘기하시라.
포르쉐는 1959년 356을 대체할 스포츠카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63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911을 처음 선보였다. 그런데 911의 이름과 관련해 유명한 얘기가 있다. 포르쉐는 원래 901로 이름을 지으려고 했지만 푸조가 숫자 가운데 ‘0’을 붙이는 건 자기들이 해오던 방식이라고 맞서 ‘0’을 쓰지 못하고 ‘1’로 바꿨다는 거다. 901이 되지 않은 게 참 다행이다. 

13 우리나라 도로 중앙선은 왜 노란색일까?
법이 그렇게 정해놨다. 우리나라 도로교통법 제2조 (정의) 5항을 보면 ‘중앙선이란 차마의 통행 방향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도로에 황색 실선(實線)이나 황색 점선 등의 안전표지로 표시한 선 또는 중앙분리대나 울타리 등으로 설치한 시설물을 말한다. 다만, 제14조 제1항 후단에 따라 가변차로(可變車路)가 설치된 경우에는 신호기가 지시하는 진행 방향의 가장 왼쪽에 있는 황색 점선을 말한다’고 나와 있다. 중앙선과 그냥 차선을 확실히 구분하기 위해 노란색으로 칠한다는 거다. 그런데 왜 많고 많은 색 중에 노란색일까? 아스팔트가 깔린 도로가 검은색에 가깝기 때문에 노란색으로 선을 그었을 때 가장 눈에 잘 들어온다는 게 큰 이유다. 채도가 높은 빨간색이 눈에 잘 띄긴 하지만 검은색과 함께 있을 때 눈에 잘 들어오는 색은 노란색이다. 이쯤에서 이런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 있을 거다. 그럼 중앙선이 노란색이 아닌 나라도 있어요? 유럽 대부분의 나라는 중앙선이 흰색이다. 일본도 흰색이다. 하지만 미국은 노란색이다. 

14 아래쪽이 둥글지 않고 판판한 스티어링휠을 D컷 스티어링휠이라고 한다. 요즘 이런 스티어링휠을 단 차가 종종 눈에 띈다. 쌍용 티볼리 아머도 이런 스티어링휠을 달았다. 한 번에 돌리려면 불편할 텐데 D컷 스티어링휠을 왜 달았을까? 멋있으라고?
자동차 역사 초기의 스티어링휠은 지금처럼 둥근 모양이 아니었다. 좌우로 밀어서 방향을 바꾸는, 말 그대로 레버의 형태였다가 링크와 기어로 ‘돌리는’ 스티어링 기어 박스가 만들어지면서부터 둥근 모양이 됐다. 

둥근 스티어링휠의 모양이 조금씩 찌그러진 건 1980년대 F1 레이싱 머신에서였다. 1988년 전설적인 드라이버 아일톤 세나와 함께 그해 F1 시즌 종합 우승을 차지한 맥라렌-혼다 MP4/4 경주차는 위쪽이 납작한 스티어링휠을 달았다. 앞쪽 카울 형태에 맞게 반원 모양의 RPM 게이지가 대시보드 가장 높은 곳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면 시선을 유지하면서 RPM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F1 경주에서는 9시 15분 방향으로 스티어링휠을 잡았을 때 경기를 치르는 동안 좌우 어느 쪽으로도 반 바퀴 이상 돌릴 필요가 없다. 그러니 굳이 둥근 모양을 유지할 필요도 없는 거다. 

한편 아래쪽이 평평한 D컷 스티어링휠은 차고가 낮은 스포츠카에 주로 쓰였다. 지붕이 낮고 의자가 많이 뒤로 기울어진 형태에서 크고 둥근 스티어링은 타고 내릴 때 다리가 걸려 불편한 경우가 많았다. 특히 엉덩이 쿠션 양옆이 튀어나온 버킷 시트일 때 더 그랬다. 그래서 아래쪽을 깎아 허벅지 부분에 여유를 둔 거다. 스티어링 칼럼을 위아래나 앞뒤로 조절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기능이 없던 시절의 일이다. 

그런데 많은 스포츠카가 이런 스티어링휠을 쓰면서 ‘스포츠카=D컷 스티어링’이란 이미지가 만들어졌다. 그렇다면 스포츠카도 아니면서, 타고 내릴 때 불편할 일이 전혀 없는데도 D컷 스티어링휠을 단 차는 뭐냐고? 다 폼으로 단 거다. 


md.sj

문재인대통령, 주요이슈, 연예정보, IT정보, 제품리뷰, 자동차, HD포토, 고화질바탕화면

    이미지 맵

    이전 글

    다음 글

    리뷰/자동차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