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롱패딩 '등골 브레이커'로 부상 (영상)


평창 롱패딩 부모잡는 새 '등골 브레이커'로 부상 / 사진

동아일보가 일명 '평창 롱패딩' 인기를 보도하며 이는 부모를 힘들게 하는 새 '등골 브레이커'라고 지적했습니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기념해 출시된 ‘평창 롱패딩’이 큰 인기를 끌고 있고 있는 가운데, 롱패딩이 새로운 ‘등골 브레이커’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롱패딩은 기장이 무릎 아래로 내려오는 긴 패딩 점퍼. 주로 국가대표 선수들이 경기 중간에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벤치에서 주로 입어 ‘벤치파카’ ‘벤치다운’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롱패딩의 유행은 지난겨울부터 시작돼 올해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평창 롱패딩 부모잡는 새 '등골 브레이커'로 부상 / 사진

‘평창 롱패딩’도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품귀현상을 빚는 중입니다. 특히 저렴한 가격 때문에 ‘가성비 갑’으로 불리며 온라인 스토어에서는 전량 품절됐습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롱패딩을 새로운 ‘등골 브레이커’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과거 ‘중고등학생의 교복’으로 불릴 만큼 큰 인기를 끌었던 유명 아웃도어 브랜드의 패딩이 ‘등골 브레이커’라는 지적을 받았던 것처럼 롱패딩도 부모님의 등골을 휘게 만든다는 것 입니다.

롱패딩의 가격은 5만원 내외에서 50만원이 넘는 고가 제품까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선호도와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의 롱패딩을 사려면 20~30만 원은 기본이고 그 이상인 제품도 다수이기 때문 입니다.

이에 따라 부담을 느끼는 학부모가 적지 않은 상황입니다.


평창 롱패딩 부모잡는 새 '등골 브레이커'로 부상 / 사진

여중생 딸을 둔 황모 씨(44)는 한 언론 인터뷰를 통해 “작년에 겨울용 점퍼를 사줬는데 올해 롱패딩이 유행한다면서 다시 사달라고 하니 사줄 수밖에 없었다”며 “주머니 사정을 고려하거나 합리성을 따지면 무리라고 말했지만 막무가내였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과거 ‘등골 브레이커’ 패딩 브랜드가 빚었던 위화감 조성 문제도 또다시 제기되고 있다며 당시 학생들 사이에서 패딩 제품군의 가격에 따라 ‘계급’을 나누는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 이라고 했습니다.

이 때문에 일부 학교에서는 롱패딩을 등·하교 때만 착용하도록 하고, 난방이 되는 교실에서는 착용하지 못하도록 지시하기도 했다고 전했습니다.


'평창 롱패딩' 인기 비결은…뛰어난 가성비에 아이돌 효과 / JTBC제공 동영상


"어머 이건 사야해!" 몸싸움까지…'평창 롱패딩' 구매 대란 / JTBC제공 동영상

관련 링크

[오늘의이슈/정치.사회] - '평창 롱패딩' 대란, 현장분위기.판매상황 및 향후판매, 재입고 일정
[오늘의이슈/정치.사회] - 평창 롱패딩 '등골 브레이커'로 부상 (영상)
[리뷰/제품정보] - 평창 롱패딩 온.오프라인.구입처.판매처.매장정보
[리뷰/제품정보] - 평창 롱패딩 '가성비 갑, 인기폭팔'

md.sj

문재인대통령, 주요이슈, 연예정보, IT정보, 제품리뷰, 자동차, HD포토, 고화질바탕화면

    이미지 맵

    이전 글

    다음 글

    오늘의이슈/정치.사회 다른 글